알려줘닷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알려줘닷컴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17) N
    • 미래기술노트 (16) N
      • 인공지능(AI) (16) N
    • IT기술노트 (12)
    • 통신기술노트 (3)
    • 보안 컴플라이언스 (25)
      • 보안규정 및 지침 (1)
      • 개인정보처리방침 (0)
      • 개인정보동의서 (2)
      • 가명ㆍ익명 정보 및 처리 (4)
      • 데이터전문기관 (1)
      • 망분리 (1)
      • (개인)정보보호 주요 정책 동향 (13)
    • 사이버위협분석 (148) N
      • 악성 이메일 분석 (3)
      • 악성 사이트 분석 (2)
      • 피싱 메신저 분석 (1)
      • 침해사고분석 (3)
      • 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사고 동향 (132) N
      • 다크웹 (0)
      • 화재·재해 등 장애 (1)
    • 모의해킹 (6)
      • 웹 (1)
      • 모바일 (0)
      • 네트워크 (0)
      • 시스템 (0)
      • 게임 (0)
      • IoT (5)
    • 컴퓨터 기본 지식 (7)
      • 공통 (1)
      • 맥 OS (3)
      • 윈도우즈 (3)
      • 리눅스 (0)

검색 레이어

알려줘닷컴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LLM에서 AI 에이전트까지 : 차세대 AI 진화 로드맵

    2025.11.01 by 경험한사람

  • [에이플넷] 팔로알토 유지보수사 해킹 정황…금융·공공 고객사 정보 유출 우려_2025년 10월

    2025.10.31 by 경험한사람

  • AI와 시스템을 잇는 다리, MCP란 무엇인가?

    2025.10.26 by 경험한사람

  • RAG와 ChatGPT의 차이와 금융회사 내 활용 한계·전략

    2025.10.26 by 경험한사람

  • EDR·NDR·XDR로 보는 차세대 위협 탐지·대응 체계의 진화

    2025.10.26 by 경험한사람

  • AI 웹브라우저 시대의 시작 - ChatGPT Atlas(아틀라스)

    2025.10.25 by 경험한사람

  • AI 그림·사진 진짜 구별하기 – 딥페이크 이미지 판별법

    2025.10.25 by 경험한사람

  • 휴대폰 문자 링크, 왜 누르면 안 될까? — 스미싱의 모든 것

    2025.10.24 by 경험한사람

LLM에서 AI 에이전트까지 : 차세대 AI 진화 로드맵

AI는 이제 언어모델을 넘어, 워크플로우와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목차 ­ㄴ 서론: AI 혁신의 물결과 LLM의 등장 ­ㄴ 1단계 – LLM (Large Language Model) ­ㄴ 2단계 – AI 워크플로우 (AI Workflow) ­ㄴ 3단계 – AI 에이전트 (AI Agent) ­ㄴ LLM → Workflow → Agent: 진화의 핵심 변화 ­ㄴ AI 에이전트 시대의 필수 역량 ­ㄴ AI와 함께 일하는 법: 직무별 적용 전략 ­ㄴ 정보보호 분야에서의 AI 활용 전략 TOP 5 ­ㄴ 맺음말: 인간과 AI의 공진화 □ 서론: AI 혁신의 물결과 LLM의 등장 2018년: 구글 BERT로 트랜스포머 기반 언어모델 대중화의 출발점2020년..

미래기술노트/인공지능(AI) 2025. 11. 1. 10:57

[에이플넷] 팔로알토 유지보수사 해킹 정황…금융·공공 고객사 정보 유출 우려_2025년 10월

SK쉴더스 해킹을 일으켰던 블랙쉬란택 그룹이 보안업체 에이플넷을 공격했다고 주장하며, 내부·고객사 자료 250GB를 다크웹에 게시한 정황이 확인됨. □ 개요 2025년 10월 30일, 랜섬웨어 그룹 ‘블랙쉬란택(Blackshrantac)’이 국내 보안 전문기업 **에이플넷(ApleNet)**의 내부 데이터를 탈취했다고 주장하며 다크웹에 약 250GB 규모의 자료와 63장의 샘플 이미지를 게시했다.에이플넷은 글로벌 보안기업 팔로알토 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 제품군 유지보수 전문업체로, 금융권·공공기관·대기업 등을 주요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유출된 자료에는 방화벽 구성, 고객사 계약 내역, 내부 업무 시스템, 회의자료 등이 포함된 것으로 보이며, 회사는 침해 사실 인지 직후..

사이버위협분석/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사고 동향 2025. 10. 31. 23:12

AI와 시스템을 잇는 다리, MCP란 무엇인가?

MCP(Model Context Protocol) 는 AI가 실제 시스템과 안전하게 연결되어,메일·DB·보안로그 같은 업무 자산을 직접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목차 ­ㄴ 들어가며 – 왜 지금 MCP인가? ­ㄴ MCP(Model Context Protocol)의 기본 개념 ­ㄴ MCP의 작동 원리 ­ㄴ MCP와 기존 연동방식 비교 ­ㄴ MCP 사용방법 예제 – IT·정보보호 관점에서 이해하기 ­ㄴ MCP 활용 리소스와 실습 방법 ­ㄴ MCP vs RAG – AI 연동의 두 가지 길 ­ㄴ 보안 전문가 관점에서 본 MCP의 의의 ­ㄴ MCP와 금융권의 미래 ­ㄴ 정리하며 – AI와 시스템의 경계가 사라지는 시대 □ 들어가며..

미래기술노트/인공지능(AI) 2025. 10. 26. 11:57

RAG와 ChatGPT의 차이와 금융회사 내 활용 한계·전략

정확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한 사내 AI 활용 가이드 목차 ­ㄴ 서론 : 왜 금융회사도 AI 어시스턴트를 도입했는가 ­ㄴ RAG란 무엇인가 (상세 설명) ­ㄴ RAG vs ChatGPT – 구조적 차이 ­ㄴ 생성형 AI, 그러나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생성” ­ㄴ 창의성과 정확성의 균형 ­ㄴ 임직원 활용 범위 가이드 ­ㄴ RAG의 한계와 현실적 기대치 ­ㄴ 금융회사 내 도입 포인트 ­ㄴ 최근 국내 금융회사·기업의 RAG 도입 제품 ­ㄴ 기업 내부망용 RAG형 AI 어시스턴트 개요 ­ㄴ 결론 : ChatGPT와 RAG의 공존 전략 □ 서론 : 왜 금융회사도 AI 어시스턴트를 도입했는가 최근 임직원들이 ChatGPT를 활용해 보고서 초안, 요..

미래기술노트/인공지능(AI) 2025. 10. 26. 02:41

EDR·NDR·XDR로 보는 차세대 위협 탐지·대응 체계의 진화

EDR·NDR·XDR은 차단 중심의 보안을 넘어, 탐지와 대응을 통합한 지능형 위협 대응 체계로 진화하며 보안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의한다.목차 ­ㄴ 서론 : 보안의 중심이 ‘차단’에서 ‘탐지와 대응’으로 이동하다 ­ㄴ EDR – 단말에서 시작된 보안의 재정의 ­ㄴ NDR – 네트워크 단위의 가시성 확장 ­ㄴ XDR – 통합 탐지·대응으로의 진화 ­ㄴ EDR·NDR·XDR의 투자 필요성과 역할 구분 (경영진 관점 핵심 파트) ­ㄴ SIEM·XDR·SOAR의 관계 정립 ­ㄴ SIEM vs XDR 구조 및 실무 시나리오 비교 (확장판) ­ㄴ SIEM과 XDR 로그 연동 및 역할 구분 ­ㄴ SIEM과 XDR의 역할 차이 – ‘분석의 두뇌 vs 대응의 팔’ ­..

IT기술노트 2025. 10. 26. 01:45

AI 웹브라우저 시대의 시작 - ChatGPT Atlas(아틀라스)

“검색이 아닌 대화로 웹을 탐색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OpenAI의 ChatGPT Atlas는 페이지를 ‘읽는’ 대신 AI가 스스로 이해하고 요약하는 새로운 개념의 웹브라우저입니다. 2025년 10월 Mac 버전으로 첫 공개된 Atlas는, 이제 우리가 웹을 사용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을 준비를 마쳤습니다.목차 ­ㄴ ChatGPT Atlas(아틀라스)란 무엇일까? ­ㄴ 설치부터 첫 실행까지 – Atlas 시작하기 ­ㄴ 현재 지원 환경: Mac 전용, Windows는 곧 출시 예정 ­ㄴ AI와 함께하는 웹 탐색 ­ㄴ ChatGPT Atlas로 할 수 있는 일 10가지 (활용 시나리오 중심) ­ㄴ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는 괜찮을까? ­ㄴ ChatGPT Plus 사용자라..

미래기술노트/인공지능(AI) 2025. 10. 25. 18:12

AI 그림·사진 진짜 구별하기 – 딥페이크 이미지 판별법

SNS·뉴스·단체 채팅방에서 퍼지는 사진, “이거 진짜일까?” 이젠 단순 호기심이 아니라 정보보안의 기본 상식이 되었습니다. 목차 ­ㄴ 서론 – “이 사진, 진짜일까?” ­ㄴ AI 이미지와 딥페이크의 차이 ­ㄴ 왜 위험할까? ­ㄴ 최근 주요 사례 (2024~2025년) ­ㄴ AI 합성 이미지 구별법 (실전 판별 팁) ­ㄴ AI 생성물 식별 기술 동향 ­ㄴ 개인이 지킬 수 있는 5가지 습관 ­ㄴ 결론 – “눈을 믿지 말고, 근거를 믿어라” □ 서론 – “이 사진, 진짜일까?” 요즘 SNS나 뉴스에서 “누가 체포됐다”, “유명인이 사과문 올렸다” 같은 이미지가 순식간에 퍼집니다.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면 AI가 만든 가짜 이미지인 경우가 많습니다.Midjour..

미래기술노트/인공지능(AI) 2025. 10. 25. 15:19

휴대폰 문자 링크, 왜 누르면 안 될까? — 스미싱의 모든 것

문자 한 통의 링크가 악성앱 설치·금전피해로 이어집니다. 특히 안드로이드에서는 APK 설치형, iOS에서는 피싱사이트형 공격이 활발합니다. 평소 습관과 자동 차단·모니터링으로 예방하세요. 목차 ­ㄴ 서론 – “택배 왔습니다” 한 줄 문자, 왜 위험할까? ­ㄴ 스미싱이란? – ‘SMS + Phishing’의 합성어 ­ㄴ 연도별 스미싱 공격 형태 변화 ­ㄴ 실제 피해 사례 ­ㄴ 스미싱의 기술적 구조 ­ㄴ 운영체제별 보안 차이 – 아이폰은 안전할까? ­ㄴ 어떻게 구별하고 막을 수 있을까? ­ㄴ 최신 대응 동향 ­ㄴ 사후 조치 – 만약 피해가 의심되면 ­ㄴ 결론 – “한 번의 터치가 내 정보를 판다” □ 서론 — “택배 왔습니다” 한 줄 문자, 왜 위험..

IT기술노트 2025. 10. 24. 22: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28
다음
TISTORY
알려줘닷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